2025년 현재, 한국에서 가장 많은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채널 TOP10은 어디일까요? 구독자 수, 콘텐츠 특징, 인기 비결까지 쉽고 재미있게 정리했습니다!(순위는 수시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직접 촬영, 직접 업로드, CC0 라이선스
1. 1위 - BTS 공식 채널 'BANGTANTV'
전 세계 팬들의 사랑을 받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2025년 7월 기준 구독자 수는 7,200만 명을 돌파하며, 한국 유튜브 채널 중 최다 구독자를 자랑합니다.
채널에는 무대 영상, 리얼리티, 브이로그, 연습 영상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가 올라오며, 팬들과의 소통도 활발합니다. 글로벌 팬덤 '아미(ARMY)'의 응원과 함께 유튜브 플랫폼 내 K-POP의 상징적 채널로 자리 잡았죠.
단순한 음악 채널을 넘어 브랜드 가치, 팬심, 문화 콘텐츠가 모두 결합된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2위 - ★★ 5천만 구독자! 핑크퐁(Pinkfong)
Baby Shark로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킨 한국 유아 콘텐츠 채널입니다. 2025년 현재 구독자 수는 약 5,500만 명이며, 대표 영상 'Baby Shark Dance'는 유튜브 전체 조회수 1위를 기록했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노래, 동요, 동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제작되며, 영어, 스페인어 등 다국어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어 해외 부모층에게도 큰 신뢰를 얻고 있어요.
교육성과 재미를 동시에 담은 콘텐츠로, 유아 콘텐츠 분야의 넘버원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3. 3위 - 감성 팝 커버 아티스트 'J.Fla'
J.Fla는 세계 시장에서 사랑받는 팝송 커버 유튜버입니다. 2025년 기준 구독자 수는 1,770만 명 이상으로, 한국 1인 여성 크리에이터 중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Ed Sheeran, Adele, Maroon 5 등의 곡을 섬세하고 감성적인 목소리로 편곡&커버하며, 국내보다는 해외 팬층이 매우 두텁습니다.
영상 품질, 음향 믹싱, 배경 분위기 등 전문 아티스트급 퀄리티로 팬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는 자작곡 앨범도 발표하며 뮤지션으로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어요.
4. 4위 - 글로벌 먹방 여왕 'Jane ASMR 제인'
ASMR 먹방 콘텐츠로 전 세계 먹방 팬을 사로잡은 유튜버입니다. 2025년 기준 구독자 수는 약 1,700만 명에 달하며, 미국,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권과 영어권 모두에서 인기를 얻고 있어요.
치킨, 젤리, 해산물, 초콜릿 등 다양한 음식을 고음질 마이크로 입소리·씹는 소리까지 리얼하게 전달하며, 영상 편집도 감각적입니다.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하며, 편안하고 자극 없는 분위기로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습니다.
5. 5위 - 바다 먹방의 여왕 '쏘영 Ssoyoung'
해산물 먹방으로 유명한 쏘영은 구독자 수 970만 명을 넘기며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입니다. 살아있는 해산물을 직접 손질해 조리하고, 먹는 모습까지 보여주는 리얼함이 특징이죠.
영상의 편집, 썸네일 구성, 표정 연기 등 해외 시청자에게도 언어 장벽 없이 쉽게 전달되는 영상미를 자랑합니다.
단순 먹방을 넘어서 요리+퍼포먼스+리액션까지 결합된 쏘영만의 스타일로 높은 중독성과 조회수를 자랑합니다.
6. 6위 - 예능형 직업 체험 콘텐츠 '워크맨'
JTBC 스튜디오 룰루랄라에서 제작한 직업 체험 웹 예능 채널로, 2025년 기준 구독자 약 450만 명을 기록 중입니다. 개그맨 장성규의 유쾌한 진행과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직장인의 마음을 사로잡았어요.
배달, 카페, 백화점, 키즈카페 등 다양한 직업을 직접 체험하는 콘텐츠는 공감도와 웃음을 동시에 주며, 젊은 세대와 직장인들 사이에서 화제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업 브랜디드 콘텐츠, 스핀오프 영상도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유튜브 기반 웹예능의 대표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어요.
7. 7위 - 창의적 게임 스토리텔링의 선구자 '도티 TV'
도티는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세계관 기반 게임 콘텐츠로 초등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유튜버입니다. 2025년 현재 구독자 수는 250만 명 수준이지만, 콘텐츠 파급력은 수치를 넘어서죠.
단순 게임플레이를 넘어 스토리텔링·교육적 요소·상상력 자극을 더한 콘텐츠로 유튜브 초창기부터 인기몰이를 해왔습니다.
또한 샌드박스 네트워크 공동 창립자로서 1인 크리에이터 시대를 연 대표 인물이며, 팬미팅, 굿즈, 출판, 교육 콘텐츠 등으로 브랜드화에도 성공했습니다.
8. 8위 - 소탈한 아빠 요리 콘텐츠 '승우아빠'
'승우아빠'는 요리와 식생활 팁을 일상 브이로그 형태로 풀어내는 유튜버입니다. 구독자 수는 약 250만 명으로, 요리 콘텐츠 중 가장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채널 중 하나예요.
단순 요리 레시피뿐 아니라 조리도구 추천, 식재료 비교, 유통기한 상식 등 실용적인 정보가 많고, 자취생부터 주부, 직장인까지 모두가 공감할 만한 콘텐츠가 특징입니다.
편안한 말투와 유쾌한 성격으로 정보와 재미를 동시에 제공하며, 광고 콘텐츠도 자연스럽게 녹여내며 호평을 받고 있어요.
9. 9위 - 힐링 먹방 콘텐츠 '입짧은햇님'
'입짧은햇님'은 다정한 말투와 깔끔한 먹방 콘텐츠로 팬층이 두터운 유튜버입니다. 2025년 기준 구독자 수는 약 230만 명이며, 양이 많은 먹방보다는 친근함과 진심이 담긴 식사로 인기를 끌고 있어요.
밝은 에너지, 정갈한 식사 매너, 정직한 후기 등으로 광고 신뢰도도 높고,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팬들과 소통하며 채널 충성도가 높습니다.
먹방을 넘어 혼밥 시대의 친구 같은 콘텐츠로 위로를 주는 유튜버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어요.
10. 10위 - 지식은 즐겁다! '딩동댕대학교'
'딩동댕대학교'는 EBS에서 운영하는 지식 예능 채널입니다. 2025년 기준 구독자 수는 약 240만 명이며, 과학, 역사, 사회 등 다양한 지식을 재미있게 풀어낸 영상으로 인기를 얻고 있어요.
청소년을 위한 콘텐츠에 유머와 영상미를 더한 편집이 강점이며, 대표 시리즈 ‘과학 험담’, ‘수능 콘텐츠 해설’ 등이 SNS에서 회자되며 인지도를 높였죠.
교육 콘텐츠지만 영상 조회수, 댓글 반응, 바이럴 측면에서도 강한 채널로, 공신력 있는 학습 유튜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11. TOP10 유튜브 채널 비교표
순위 | 채널명 | 구독자 수 | 주요 콘텐츠 |
---|---|---|---|
1위 | BANGTANTV | 7,200만 | K-POP/팬 소통 |
2위 | 핑크퐁 | 5,500만 | 유아 교육/노래 |
3위 | J.Fla | 1,770만 | 팝송 커버 |
4위 | Jane ASMR | 1,700만 | 먹방/ASMR |
5위 | 쏘영 | 970만 | 해산물 먹방 |
6위 | 워크맨 | 450만 | 직업 예능 |
7위 | 도티 TV | 250만 | 게임 스토리텔링 |
8위 | 승우아빠 | 250만 | 요리/브이로그 |
9위 | 입짧은햇님 | 230만 | 먹방/소통 |
10위 | 딩동댕대학교 | 240만 | 지식 예능 |
12. 어떤 콘텐츠가 인기 많을까?
TOP10 유튜버들을 보면 공통적으로 특정 장르에서 특화된 콘텐츠로 확실한 팬층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유아/교육 콘텐츠: 핑크퐁, 딩동댕대학교
- K-POP/아티스트 중심 채널: BANGTANTV
- 먹방/ASMR 콘텐츠: Jane ASMR, 쏘영, 햇님
- 음악 커버 콘텐츠: J.Fla
- 게임 기반 창작: 도티
- 요리+일상 콘텐츠: 승우아빠
- 예능 체험 콘텐츠: 워크맨
결국 “내 콘텐츠가 누군가에게 유용하거나 감정을 건드릴 수 있어야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3. 유튜버 수익은 얼마나 될까?
유튜버 수익은 콘텐츠 주제, 타깃 국가, 광고 단가, 협찬 규모에 따라 다양합니다. 수익 구조는 크게 3가지입니다:
- 애드센스 광고 수익: 평균 CPM은 1,000원~2,000원 (한국 기준). 해외는 더 높을 수도 있음.
- 브랜드 협찬 수익: 콘텐츠 방향에 따라 한 건당 수백~수천만 원까지 가능.
- 기타 수익: 굿즈, 팬 유료멤버십, 교육강의, 라이브 후원 등.
예) 구독자 100만+ 채널이 월 1천만 원 이상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흔함. 하지만 경쟁도 치열하므로 꾸준함이 필수입니다.
14. 유튜버를 꿈꾼다면? 지금이 기회!
지금도 유튜브를 시작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다만 “나만의 색깔”과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없으면 오래가기 어렵습니다.
다음 요소부터 고민해 보세요:
- 콘셉트 선정: 내가 가장 자신 있고 좋아하는 주제
- 초반 10편의 완성도: 방향성과 브랜딩의 기반
- 썸네일 & 제목 전략: 클릭률에 직결
- 업로드 주기: 일정한 패턴이 신뢰를 만듦
카메라와 마이크가 없어도 스마트폰 하나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처음은 부족해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계속 만드는 힘입니다. 지금 바로 도전해 보세요!
'한국에서 최고&최초 시리즈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한국 최고 누적 조회수 유튜버 10인, 수익과 콘텐츠까지 완전 정리! (42) | 2025.07.09 |
---|---|
한국 최초 올림픽 메달을 딴 사람은? 최초의 금메달 딴 사람은? (35) | 2025.07.07 |
한국 최초 여성 판사의 정체는? 1954년 서울지법 판사 임용 "故人 황윤석" (35) | 2025.07.07 |
“한국 최초의 자동차는 누구 것이었을까?” 1903년 조선의 마지막 황제인 고종 황제 (23) | 2025.07.07 |
한국 최초의 핸드폰 소지지와 번호는? 故人 노태우 대통령?(추측) (29)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