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인 투자 시작하려는 분들 정말 많죠? 하지만 어렵고 생소한 용어들에 막혀서 포기하려는 분도 많아요. 이 글에서는 코인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용어 30가지를 쉽고 친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이미지 출처: 직접 촬영, 직접 업로드, CC0 라이선스
1️⃣ 💡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 정보를 '블록'에 기록하고, 이 블록을 시간순으로 '체인'처럼 연결한 구조예요.
쉽게 말하면,
누가, 언제, 얼마를 거래했는지 모두 공개된 디지털 장부
라고 보면 돼요.
특징은 단 하나! 누구도 몰래 조작할 수 없다는 점이에요. 모든 사용자가 이 장부를 나눠 갖고 있어서, 누가 거짓말을 하려 하면 바로 들통나요.
2️⃣ 💰 비트코인(Bit coin) vs 알트코인
비트코인은 첫 번째이자 가장 잘 알려진 암호화폐예요. 처음에는 '디지털 화폐'로 출발했지만, 지금은
디지털 금처럼 가치 저장 수단
으로 여겨지죠.
알트코인(Altcoin)은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코인'을 말해요.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같은 코인들이 여기에 포함돼요.
💡 최초의 암호화폐
🪙 디지털 금 같은 존재
🌐 다양한 기능
📈 기술/플랫폼 기반 많음
3️⃣ 🏦 거래소(CEX & DEX)의 차이
코인을 사고팔 때 사용하는 곳이 거래소죠.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 CEX (중앙화 거래소) - 업비트, 바이낸스처럼 회사가 운영. 사용 편리!
- DEX (탈중앙화 거래소) - 유니스왑, 팬케이크처럼 유저 간 직접 거래. 익명성👍
CEX는 빠르고 직관적이지만,
회사에 자산을 맡기는 구조
예요.
DEX는 본인 지갑으로 직접 거래하니, 보안은 좋은데 인터페이스는 좀 어려울 수 있어요.
4️⃣ 📈 시가총액(Market Cap)이 중요한 이유
시가총액은 해당 코인의 전체 가치를 뜻해요.
계산은 간단!
현재 가격 × 유통량
= 시가총액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 1 BTC = 5천만 원이고 유통량이 2000만 개면?
👉 시가총액은 약 1,000조 원 수준!
시총이 높다는 건 안정성이 있다는 뜻이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위험할 수도 있어요.
5️⃣ 📉 김프, 역프란?
김프(김치 프리미엄)는 한국 거래소에서 코인이 더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이에요.
예: 해외 1 BTC = 5천만 원인데, 한국에선 5천3백만 원일 때.
역프는 반대로 한국이 더 싸게 거래되는 경우! 두 현상 모두 환율, 수요, 국내 시장 심리 등에 따라 발생해요.
6️⃣ 📊 캔들, 차트, 호가창 보는 법
코인 투자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차트 분석이죠.
가장 기본은 캔들 차트예요.
- 🔺 빨간(양봉): 가격이 오른 날
- 🔻 파란(음봉): 가격이 내린 날 - 꼬리: 고점/저점 표시
호가창은 매수, 매도 주문이 쌓인 현황이에요.
매도벽이 크면 저항, 매수벽이 크면 지지로 보는 분들도 많죠.
7️⃣ 🔐 지갑(Wallet) 종류와 특징
코인을 보관하는 곳, 바로 지갑이에요. 종류가 꽤 많아요.
- 핫월렛: 인터넷 연결 O (메타마스크 등)
- 콜드월렛: 인터넷 연결 X (하드웨어 지갑)
핫월렛은 편리하지만 해킹 위험이 있고, 콜드월렛은 보안이 뛰어나지만 사용이 번거로울 수 있어요.
인터넷 필요
사용 간편
오프라인 보관
보안 최강
큰 금액을 장기 보관할 땐 콜드월렛이 안전하고, 자주 거래할 땐 핫월렛이 편리해요!
8️⃣ 📦 에어드롭이 뭐야?
에어드롭(Airdrop)은 코인을 공짜로 나눠주는 이벤트예요. 신규 코인이 홍보나 보상 목적으로 사용자 지갑에 토큰을 보내주는 방식이에요.
조건은 다양해요. 예를 들면:
- 특정 지갑 주소에 이미 보유 중일 때
- 미션 수행 (SNS 팔로우, 가입 등)
- 기존 보유자에게 자동 배포
9️⃣ 💸 펌핑과 덤핑, 주의해야 할 이유
펌핑(Pump)은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 덤핑(Dump)은 급락을 말해요.
문제는, 대부분 작전 세력의 인위적인 움직임이라는 거예요.
이런 흐름은 일반 투자자가 들어가면 꼭지에서 물리기 쉬워요. SNS에서 갑자기 모르는 코인을 홍보한다? 일단 의심부터!
🔟 📬 시드머니와 물타기
시드머니(Seed Money)는 투자에 사용할 원금이에요.
보통 자신이 감당 가능한 수준 내에서 정해야 해요.
물타기는 가격이 하락했을 때 추가 매수해서 평균 단가를 낮추는 전략인데요, 잘못하면 계속 빠지는 칼날을 잡는 셈이 되기도 해요.
투자 시작 자금
내 형편에 맞게 설정
평균 단가 낮추기
지나치면 리스크!
⓫ 🧠 FOMO, FUD, HODL 뜻과 예시
FOMO: Fear Of Missing Out, 놓칠까 봐 불안한 심리예요.
다 오를 때 나만 안 사면 손해 같죠? 그래서 고점에 진입하는 일이 많아요.
FUD: Fear, Uncertainty, Doubt. 즉, 불안과 공포를 퍼뜨리는 심리전이죠.
악재 뉴스 퍼뜨리고 하락을 유도하는 세력도 있어요.
HODL: 원래 ‘HOLD(보유)’ 오타인데, 지금은 끝까지 들고 가는 투자자의 자세로 쓰여요.
FOMO: 조급함 🏃
FUD: 공포 마케팅 😨
HODL: 장기 투자자 🧍
⓬ 🔄 스왑(Swap)과 브리지(Bridge)
스왑은 한 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교환하는 행위예요.
예: USDT → ETH (동일 네트워크 내)
브리지는 다른 체인 간 이동이에요.
예: 이더리움 체인에 있는 USDT → 폴리곤 체인으로 이동
같은 체인 내 코인 교환
빠르고 간단
체인 간 이동
수수료 주의!
⚠️ 네트워크 선택 실수 시 자산이 증발할 수 있으니, 항상 체인명 확인 필수!
⓭ 🔍 디파이(DeFi)란?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는 은행 없이도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예요.
대출, 예치, 교환 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계약으로 돌아가요.
대표적인 플랫폼: 유니스왑, 컴파운드, 커브 등
사용자는 직접 지갑으로 연결해서 이용해요.
⓮ 💳 스테이킹(Staking)과 이자 수익
스테이킹은 내가 가진 코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해서 보상받는 시스템이에요.
쉽게 말해, 예금 넣고 이자 받는 느낌이죠.
보상률은 코인마다 다르고, 락업(잠금) 기간이 있는 경우도 있어요.
중간에 해제 못 하거나 수수료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
- 이더리움 스테이킹
- 거래소 내 ADA 스테이킹
- DEX에서 LP 토큰 예치
⓯ 🎰 럭풀(Rug Pull)과 사기코인 구분법
럭풀(Rug Pull)은 개발자가 투자금을 모은 뒤 잠적해 버리는 사기 수법이에요.
초보자들이 특히 많이 당해요.
사기 코인 구분 팁:
- 백서 없음, 팀 정보 불투명
- 이상한 고이율 약속
- 디스코드/텔레그램만 과하게 활성
⓰ 📜 백서(White Paper)란?
백서는 해당 코인의 기획서 또는 사업 설명서예요.
프로젝트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 설명하죠.
투자하기 전, 이 백서를 읽어보면 해당 코인이 실체가 있는지 가늠할 수 있어요.
비트코인도 2008년에 사토시 나카모토가 백서를 공개하면서 세상에 나왔죠!
⓱ 🛡️ KYC와 AML, 꼭 해야 할까?
KYC(Know Your Customer)는 신원 확인 절차예요. 거래소 가입 시 주민등록증, 여권, 얼굴 인증 등을 요구하죠.
AML(Anti-Money Laundering)은 자금세탁 방지 규정이에요. 불법 자금 유통을 막기 위한 필수 시스템입니다.
CEX(중앙화 거래소)는 보통 KYC를 거쳐야 출금 한도가 늘어나요. DEX는 KYC 없이도 가능하지만, 오히려 리스크가 크기도 해요.
⓲ 💹 레버리지 거래란?
레버리지는 적은 돈으로 큰 금액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에요. 예: 10만 원으로 10배 레버리지를 쓰면 100만 원처럼 거래 가능!
이익도 커지지만 손실도 그대로 확대돼요. 📉 손실 -10%가 아니라, 레버리지 10 배면 원금 전부 날릴 수도 있어요.
⓳ ⛓️ 메인넷 vs 테스트넷 차이
메인넷(Mainnet)은 실제로 운영되는 정식 블록체인 네트워크예요.
테스트넷(Testnet)은 개발자들이 실험하거나 테스트할 때 사용하는 가상 환경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코인이 출시되기 전 테스트넷에서 에어드롭이나 기능 실험을 먼저 해요.
테스트넷 토큰은 진짜 돈이 아니기 때문에, 실수해도 부담이 적죠.
⓴ 🧾 트랜잭션 수수료(Gas Fee)
가스비(Gas Fee)는 블록체인에서 거래할 때 드는 수수료예요. 이더리움 같은 네트워크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해 일정한 가스가 필요해요.
이더리움 가스비는 높기로 유명해서 단순 송금에도 수천 원이 들기도 해요.
그래서 수수료가 낮은 체인으로 갈아타는 유저도 많아요 (ex. 폴리곤, 솔라나).
㉑ 🎯 온체인 vs 오프체인
온체인(On-Chain)은 블록체인 상에서 직접 처리되는 거래를 말해요.
오프체인(Off-Chain)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일어나는 거래예요.
예시:
- 온체인: 유니스왑에서 ETH ↔ USDC 교환
- 오프체인: 업비트 지갑 내 코인 이동 (블록체인 기록 없음)
㉒ 🌀 NFT와 대체불가능성
NFT(Non-Fungible Token)는 말 그대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에요.
각 토큰이 고유하고, 서로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뜻이죠.
디지털 그림, 음악, 아이템 등에 고유 식별값을 부여해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어요.
대표 예: BAYC, 크립토펑크, NFT 게임 아이템 등
㉓ 💼 DAO란 무엇인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이에요.
즉, 누가 명령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죠.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투명한 운영이 가능하고, 거버넌스 토큰을 가진 사람들이 투표로 운영 방향을 정해요.
대표 DAO 예시: MakerDAO, AAVE, ConstitutionDAO 등
㉔ 🔐 프라이빗키 vs 퍼블릭키
퍼블릭키는 지갑 주소예요. 누구에게든 알려줘도 괜찮은 주소입니다.
프라이빗키는 지갑을 열 수 있는 비밀번호예요. 절대 남에게 보여선 안 됩니다!
퍼블릭키는 “나에게 보내줘” 할 때, 프라이빗키는 “내 지갑 열기”일 때 쓰여요.
프라이빗키 또는 시드 문구(복구 단어)를 유출하면, 코인이 통째로 털릴 수 있어요.
❗ 절대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마세요!
㉕ 📡 오라클(Oracle)이란?
오라클은 블록체인이 외부 정보를 받아들이게 해주는 다리예요.
예를 들어 날씨, 환율, 경기 결과 같은 데이터는 온체인에 없죠.
이런 외부 데이터를 스마트 계약이 활용할 수 있게 중간에서 연결해 주는 게 오라클의 역할이에요.
체인링크(Chainlink)가 대표적인 오라클 플랫폼이에요.
㉖ ⚒️ 작업증명(POW) vs 지분증명(POS)
POW(작업증명)은 컴퓨터 계산력을 이용해 블록을 채굴하는 방식이에요.
비트코인이 대표적이죠.
POS(지분증명)은 코인을 보유한 사람에게 거래 검증 권한을 주는 구조예요.
에너지 소모가 적고 친환경적이라 최근 많이 쓰이고 있어요.
채굴 기반
전기 많이 듦
비트코인 방식
예치 기반
친환경
이더리움 2.0 방식
㉗ 🧩 하드포크 vs 소프트포크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이 완전히 갈라지는 것이에요.
기존 체인과 호환되지 않아, 새로운 코인이 만들어지기도 해요.
예: 비트코인 → 비트코인캐시
소프트포크(Soft Fork)는 이전 버전과 호환되도록 기능을 수정하는 것이라
체인이 분리되지 않아요.
- 하드포크 = 새로운 코인 생김
- 소프트포크 = 기존 체인 유지하며 기능 업그레이드
㉘ 📡 시그널 그룹과 펌핑방 주의사항
텔레그램이나 디스코드에서 “시그널 그룹” 혹은 “펌핑방” 초대받은 적 있나요?
이곳에서 “지금 이 코인 산다!”라고 외치며 가격을 인위적으로 움직이려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이미 운영자는 먼저 매수하고, 일반인은 고점에 물리는 구조죠.
거의 대부분 작전 세력의 유인이니, 무조건 피하세요!
㉙ 📊 온체인 데이터 보는 법
온체인 데이터는 블록체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 기록을 뜻해요.
이를 분석하면 고래의 움직임, 코인 유입/유출을 파악할 수 있어요.
대표 사이트: Glassnode, Nansen, Dune Analytics 등
“지갑 수 증가 → 유입↑”, “거래소 입금↑ → 매도 압박” 같은 흐름을 보게 되죠.
㉚ 💡 코인 투자 전 꼭 알아야 할 팁
마지막으로, 진짜 중요한 이야기!
아무리 좋은 정보라도, 직접 공부하고 판단하는 습관이 제일 중요해요.
단톡방, 유튜버, SNS에서 코인 정보가 넘쳐나지만, 그 누구도 당신의 손실을 책임져주지 않아요.
- ✅ 무리한 금액 투자 ❌
- ✅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먼저 확인
- ✅ 메이저 코인부터 천천히 시작
이제, 당신은 코인 용어 초급 탈출!
이 글을 저장해 두고 투자할 때마다 참고해 보세요 🙌
📌 Q. 블록체인과 코인은 어떻게 다른가요?
📌 Q.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은 어떤 차이인가요?
📌 Q. FOMO, FUD, HODL 뜻이 너무 헷갈려요!
- FOMO: 놓칠까 봐 불안한 심리 (공포성 진입)
- FUD: 불안, 의심, 공포를 퍼뜨리는 말
- HODL: ‘Hold’ 오타 → 코인을 끝까지 들고 가는 전략
📌 Q. 스테이킹이랑 예치(예금)는 어떻게 다른가요?
📌 Q. 프라이빗키와 시드문구는 똑같은 건가요?
'알면 좋은 팁 > 코인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초보 투자자 단타 장투 전략 완전정리 : 코인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5편 (27) | 2025.07.31 |
---|---|
💰 처음 코인투자 시 절대 피해야 할 실수 : 코인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4편 (30) | 2025.07.31 |
💸 코인 수수료 아끼는 실전 전략 총정리 : 코인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2편 (40) | 2025.07.30 |
🔐 리스크 없이 코인 수익 만들기? 스테이킹 구조·수익률·주의사항 총정리 : 코인 초보자 배우기 11편 (42) | 2025.07.18 |
🎯 코인 vs 주식 차이점 완벽 정리! 어떤 투자 방식이 나에게 맞을까? : 코인 초보자 배우기 10편 (35)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