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주소와 도메인 이름의 차이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친근하고 현실적인 예시를 통해 IT 기초 지식을 배우고,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까지 제공합니다.
이미지 출처: 직접 촬영, 직접 업로드, CC0 라이선스
1️⃣ 🌐 IP주소와 도메인 이름, 왜 알아야 할까?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마다 뒤에서 몰래 일하는 두 주인공이 있어요. 바로 IP주소와 도메인 이름이죠. 📡
쉽게 말해 IP주소는 ‘집 주소’, 도메인은 ‘집 주소에 붙인 별명’이라고 보면 돼요. 친구 집을 찾아갈 때 복잡한 위도·경도를 기억하는 대신, ‘서울시 ○○구 ○○아파트 101동 1001호’라고 쓰는 게 더 편하잖아요? 도메인도 그런 역할을 합니다.
IP주소 = 숫자로 된 진짜 주소
도메인 이름 =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붙인 별명
2️⃣ 🔢 IP주소 기본 개념과 종류(IPv4 vs IPv6)
첫 번째, IPv4
IPv4는 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주소 방식이에요. 192.168.0.1 같은 형태로, 0~255 사이 숫자 4개를 점(.)으로 이어 붙입니다. 다만 주소 개수가 한정돼 있어서 점점 부족해지고 있죠.
두 번째, IPv6
IPv6는 IPv4의 한계를 보완하려고 등장했어요. 예: 2001:0 db8:85 a3:0000:0000:8 a2 e:0370:7334처럼
훨씬 길고 복잡하죠. 대신 주소가 거의 무한대라 앞으로는 IPv6가 점점 보급될 거예요.
192.168.0.1
주소 부족 문제 ⚠️
2001:db8:...
거의 무한대 😍
3️⃣ 🏠 도메인 이름이 필요한 이유
만약 웹사이트를 들어가려면 142.250.196.206 같은 숫자를 외워야 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 너무 불편하겠죠?
그래서 등장한 게 도메인 이름이에요. www.google.com처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단어로 바꿔주죠.
✔ 142.250.196.206 = google.com
✔ 151.101.1.69 = github.com
4️⃣ 🔄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역할
도메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해당 서버의 IP주소를 찾아주는 시스템이 바로 DNS예요.
DNS를 ‘인터넷 전화번호부’라고 생각하면 딱 맞습니다. 내가 “구글!” 하고 말하면 DNS가 “그건 142.250.196.206이야” 하고 알려주는 거죠. 📞
도메인 = 친구 이름
DNS = 연락처 목록
IP주소 = 실제 전화번호
5️⃣ 📊 IP주소와 도메인의 차이 한눈에 비교
헷갈리기 쉬운 두 개념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숫자로 된 실제 주소
예: 142.250.196.206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이름
예: google.com
6️⃣ 🛠️ 내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첫 번째, 검색창 활용
구글에 “내 IP주소”라고 검색하면 바로 현재 공인 IP를 알려줍니다. 가장 간단하죠. 🔍
두 번째, 명령어 사용
윈도우: cmd → ipconfig
입력 맥·리눅스: ifconfig
입력 이 방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어요.
7️⃣ 💡 도메인 이름 쉽게 찾는 방법
첫 번째, WHOIS 조회
도메인의 소유자와 등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whois.kr” 같은 사이트에서 조회하면 됩니다.
두 번째, DNS 조회
명령어 nslookup 도메인주소
를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세 번째, 온라인 도구 활용
‘도메인 IP 확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바로 결과를 보여줍니다. 🖥️
8️⃣ 📌 실제 사례로 보는 IP와 도메인 활용
IP주소와 도메인이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사례로 볼까요?
사례 1. 쇼핑몰 운영
쇼핑몰 서버는 고유한 IP주소를 갖고 있어요. 하지만 고객들이 “203.0.113.5로 접속하세요”라고 하면 아무도 기억 못 하겠죠? 그래서 “mystore.com” 같은 도메인을 등록해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례 2. 회사 네트워크
회사 내부에서는 직원들이 프린터, NAS(네트워크 저장장치) 등 여러 장비에 접속해야 하는데, IP로 접속하면 복잡해요. 그래서 printer.company.local 같은 도메인 네임을 붙여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례 3. 해외 접속
한국에서 미국 서버에 접속할 때도, 우리는 단순히 도메인을 입력하면 돼요. DNS가 알아서 전 세계 서버 중 가장 가까운 IP로 연결해 줍니다. 🌍
9️⃣ 🏆 초보자를 위한 추천 학습 리소스
처음 IP와 도메인을 배우는 분들을 위해 추천할 만한 리소스를 정리했습니다. 📚
“내 IP주소” 입력
기본 확인 방법
도메인 등록 정보
소유자·기간 확인
무료 강의
인터넷 기초 이해
명령어 연습
IP ↔ 도메인 변환
Tip: 처음에는 “IP주소=숫자 주소, 도메인=사람이 기억하는 이름” 이 공식만 확실히 기억하세요. 그다음 DNS로 이어지면 훨씬 이해가 빨라집니다.
➉❓ 사람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 5개
👉 대부분 가정용 인터넷은 유동 IP라서 주기적으로 바뀝니다. 다만 필요하다면 통신사에 신청해서 고정 IP를 받을 수도 있어요.
👉 아니에요. 도메인은 보통 1년 단위로 등록·갱신해야 합니다. 갱신을 안 하면 다른 사람이 가져갈 수도 있으니 꼭 관리하세요.
👉 네,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버는 방문자의 공인 IP를 알 수 있어요. 그래서 VPN 같은 서비스를 통해 IP를 숨기거나 바꾸기도 합니다.
👉 도메인 자체로는 추적이 어렵습니다. 다만 WHOIS 조회를 하면 등록자의 일부 정보(이메일, 기관명 등)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보통 프라이버시 보호 설정을 걸어두죠.
👉 단순히 IP주소만 알아서는 해킹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안이 취약하면 공격의 단서가 될 수 있으니, 항상 방화벽·보안 업데이트를 유지하는 게 중요해요.
'알면 좋은 팁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SD와 HDD 차이·클라우드 스토리지 활용 가이드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6편 (7) | 2025.08.31 |
---|---|
🖥️ 디스플레이 주사율·그래픽카드 호환 완벽 가이드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4편 (15) | 2025.08.30 |
⌨️ 키보드와 마우스 진화 과정과 입력장치 혁신 스토리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3편 (31) | 2025.08.29 |
🛡️ 백신 프로그램과 방화벽 차이 및 보안 필수 개념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2편 (21) | 2025.08.29 |
🖨️ 프린터 스캐너 IoT 기기 활용과 보안 가이드 : IT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1편 (25)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