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팁/주식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 주식 거래시간과 주문 방식 완전 정복 : 주식 초보부터 고수까지 배우기 14편

by secondlife77 2025. 7. 31.
반응형

주식 초보도 한눈에 이해! 한국과 해외 시장 개장 시간부터 주문 가능한 시간대, HTS와 MTS 차이까지. 이 글 하나면 주식 주문 걱정 끝!

주식 거래시간과 주문 방식 완전 정복

 

이미지 출처: 직접 촬영, 직접 업로드, CC0 라이선스

1️⃣ 🕒 국내 주식시장 개장 시간, 어떻게 운영될까?

📌 주식은 24시간 열리지 않아요! 증시는 정해진 시간에만 열리고 닫힙니다. 은행 영업시간처럼 '시장 시간'이 존재하죠.

주식 처음 시작하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이 바로 이거예요.
"몇 시부터 매매가 가능한가요?"

한국의 주식 시장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운영됩니다. 이 시간을 "정규장"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정규장 외에도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은 더 있어요. 바로 ‘시간 외 거래’ 덕분이죠.

정규장 🕘
09:00 ~ 15:30
일반 매수·매도 가능
장전 시간 외 🌓
08:30 ~ 08:40
당일 종가로 매매
장후 시간 외 🌕
15:40 ~ 16:00
당일 종가로 거래
시간 외 단일가 🌙
16:00 ~ 18:00
10분 단위 체결

✅ 그래서 초보 투자자라면, 장 시작 전에 미리 주문 예약해 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아요.

---

2️⃣ ⏰ 해외 주요국 시장 시간표 총정리

해외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 밤새 기다리기 힘들죠? 하지만 각국 증시 시간대만 정확히 알면, 알람 맞춰 효율적 투자 가능해요!

해외 주요 증시의 개장 시간은 대부분 현지 시간 기준이지만, 우리에겐 한국 시간(KST)으로 정리된 표가 필요하겠죠!

미국 🇺🇸 (NYSE/NASDAQ)
23:30 ~ 06:00
(서머타임 시: 22:30 ~ 05:00)
중국 🇨🇳 (상해/심천)
10:30 ~ 12:30 / 14:00 ~ 16:00
일본 🇯🇵 (도쿄)
09:00 ~ 11:30 / 12:30 ~ 15:00
홍콩 🇭🇰
10:30 ~ 13:00 / 14:00 ~ 17:00

서머타임은 꼭 체크하세요! 미국 증시는 3~11월은 1시간 앞당겨 운영됩니다.

---

3️⃣ 💸 주식 주문 가능한 시간대는 따로 있다?

"24시간 주문 넣는 건 안 되나요?"라는 질문 정말 많아요.

아쉽지만 국내 주식은 정해진 시간에만 주문을 넣을 수 있어요.
그 시간은 다음과 같아요 👇

  • 장전 시간 외 주문: 08:30~08:40
  • 정규장 주문: 09:00~15:30
  • 장후 시간 외 주문: 15:40~16:00
  • 단일가 거래: 16:00~18:00

특히 시간 외 단일가10분마다 한 번씩 체결되기 때문에 매매 방식이 조금 달라요!

그리고 증권사에 따라 주문 예약도 가능하니, 바쁜 직장인들은 예약 주문 기능 활용해 보세요.

---

4️⃣ 📱 HTS와 MTS, 주문 방식 차이는?

"HTS랑 MTS가 뭐예요?"라는 질문도 많이 받습니다.

사실 둘 다 같은 기능을 하지만, 사용 환경이 달라요!

HTS 💻
Home Trading System
PC 전용 프로그램
전문가용 인터페이스
MTS 📱
Mobile Trading System
스마트폰 앱
간편하고 직관적인 화면

✅ 요즘엔 MTS 이용자가 더 많아요! 직관적이고 어디서든 접속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대량 거래나 세밀한 설정이 필요할 땐 HTS도 유용합니다.

---

5️⃣ 🧠 주문 종류별 특징 한눈에 보기 (시장가, 지정가 등)

주문할 때 "시장가로 하실래요? 지정가로 하실래요?" 이 말 들으면 멘붕 오는 분들 많죠?

걱정 마세요! 한눈에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시장가
현재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체결
가격보단 속도가 중요할 때
지정가
원하는 가격을 직접 지정
조건 만족 시에만 체결
조건부 지정가
장 종료 직전엔 시장가로 전환
미체결 방지용
최유리/최우선
가장 유리하거나 우선적인 가격
유동성 높은 종목에 적합

초보라면 '지정가 주문'부터 시작해 보세요. 내가 원하는 가격에서만 거래되니 심리적 부담이 적어요 😊

---

6️⃣ 📊 동시호가란? 체결 시간과 원리 완전 정복

“동시호가”라는 용어, 뭔가 복잡해 보이죠? 하지만 한두 번 경험하면 금방 익숙해지는 개념이에요.

💡 동시호가란?
매수·매도 주문을 한꺼번에 받아서, 일정 시간 후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이에요.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다음 두 구간에 동시호가가 발생해요.

  • 🕢 장 시작 전: 08:30 ~ 09:00
  • 🕞 장 마감 직전: 15:20 ~ 15:30

이 시간 동안은 호가창에 가격이 실시간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이 갑자기 움직이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 꿀팁! 장 초반 급등주 잡고 싶다면 08:59 이전에 동시호가 주문 넣어보세요!

7️⃣ 🪙 ETF, 코스닥, 코스피 주문 가능 시간 차이

주식은 다 똑같이 거래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ETF, 코스닥, 코스피 종목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기본적인 거래 시간은 같지만, 유의해야 할 포인트들이 있어요👇

코스피
09:00 ~ 15:30
유가증권시장, 대형주 중심
코스닥
09:00 ~ 15:30
중소형·성장주 중심
ETF
09:00 ~ 15:30
실시간 거래·동시호가 반영
ETN
09:00 ~ 15:30
ETF와 유사하지만 발행기관 의존

💡 ETF는 유동성이 높은 종목일수록 스프레드(매도·매수 가격 차)가 적어요. 즉, 거래 비용이 줄어든다는 뜻이죠!

---

8️⃣ 🚀 장전·장후 시간 외 거래, 무조건 알아야 하는 이유

“시간 외 거래는 전문가들만 하는 거 아니야?” 그렇지 않아요! 주식 초보도 활용하면 유리한 순간이 많아요.

예를 들어 장 마감 후 좋은 뉴스가 떴을 때, 다음 날 시장가보다 유리한 가격에 미리 매수할 수 있죠!

장후 시간 외 매매 : 15:40 ~ 16:00
→ 당일 종가로만 거래 가능 (가격 지정 불가)

시간 외 거래는 체결 가격이 정해져 있어서 빠르게 거래되지만, 체결량이 적을 수도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해요.

✅ 주로 뉴스가 반영되기 전 미리 포지션 잡을 때 유용하게 쓰여요!

---

9️⃣ 🧭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주문 전략 꿀팁

주식 주문, 아무거나 하면 안 되죠 😅 초보자라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기억해 두세요!

  • 처음엔 무조건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은 급등락 시 불리할 수 있어요.
  • 장 시작 10분은 피하기: 급등락이 많아 예측이 어려움
  • 예약 주문 기능 활용: 시간 외 주문도 자동 가능
  • 분할 매수/매도 습관 들이기: 리스크 분산 효과

💡 하루 1~2회, 정해진 시간에만 매매하는 습관도 멘털 관리에 좋아요.

실전 투자보다 '심리전'이 더 중요하다는 말, 괜히 나온 게 아니죠!

---

➓ 📚 정리 요약 카드: 주식 주문 완전 마스터

⏰ 정규장 시간
09:00 ~ 15:30
모든 종목 거래 가능
📱 주문 방법
MTS(모바일), HTS(PC)
예약 가능
💸 주문 종류
시장가, 지정가, 조건부 등
초보는 ‘지정가’ 추천!
🌙 시간 외 거래
장전/장후 거래
당일 종가 기준

이제 주식 주문 시간, 종류, 방식 모두 마스터하셨죠? 이 포스팅을 저장해 두면 언제든 다시 꺼내 보실 수 있어요 😊

---

💬 사람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 5가지

Q1. 주말에도 주식 주문이 가능한가요?

주말 및 공휴일에는 국내 증시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주문도 불가능합니다.

Q2. 시간 외 단일가 거래는 꼭 해야 하나요?

아니요! 의무는 아니며, 특정 뉴스나 급등 이슈 대응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Q3. 예약 주문은 언제든 가능한가요?

⏱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전일 오후 4시 이후부터 예약 주문 가능합니다.

Q4. 해외 주식은 낮에도 거래되나요?

해외 주식은 현지 시간 기준으로 운영되므로, 미국 주식은 한국 시간 밤 11시~오전 6시 사이에만 거래됩니다.

Q5. 주문 후 취소 가능한가요?

✅ 체결되기 전에는 언제든 취소 가능합니다. 단, 동시호가 시간엔 실시간 체결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반응형